[카테고리:] 컴퓨터 관련

  • 라즈베리파이에 도커 설치하고 워드프레스 돌리기

    이 글은 블로그를 네이티브 서버에서 도커로 이전하면서 남기는 기록이다. 아래는 라즈베리파이에서 도커를 설치하는 방법이다.

    1. 라즈베리파이를 최신 상태로 업그레이드 한다.

    sudo apt update && sudo apt upgrade

    2. 도커를 다운 받는다.

    curl -fsSL https://get.docker.com -o get-docker.sh

    3. 다음 명령어를 통해 도커를 설치한다

    sudo sh get-docker.sh

    이제 도커가 설치 되었다. 그러나 도커를 실행하려면 루트권한이 필요하다. 루트권한 없이 사용자 계정으로 도커를 사용하려면 사용자를 도커 그룹에 등록을 해야 한다.

    sudo usermod -aG docker "username"

    “username” 대신에 자신의 계정 이름을 넣으면 된다 예를 들어 pi 인 경우

    sudo usermod -aG docker pi

    와 같이 하면 된다.

    그 다음 로그아웃 후 재 로그인 해 주자.

    그다음 편의를 위해 도커 컴포즈를 설치해 줄 것이다. 다음 명령어를 입력해 컴포즈를 설치해 주자.

    sudo apt install docker-compose

    이제 설치가 완료 되었다. 이제 워드프레스를 설치해 보자.

    워드프레스가 설치될 디렉토리를 만들자. 필자는 홈폴더에 만들었다.

    mkdir wordpress
    cd wordpress

    그리고 이제 파일을 만들어야 한다.

    nano docker-compose.yml

    위 명령어로 파일을 만들어주고 아래 내용을 입력한다. (라즈베리파이2B 기준)

    version: '3.3'
    
    services:
       db:
         image: biarms/mysql:5
         volumes:
           - ./mysql:/var/lib/mysql
         restart: always
         environment:
           MYSQL_ROOT_PASSWORD: wordpress
           MYSQL_DATABASE: wordpress
           MYSQL_USER: wordpress
           MYSQL_PASSWORD: wordpress
    
       wordpress:
         depends_on:
           - db
         image: wordpress:latest
         ports:
           - "80:80"
         restart: always
         environment:
           WORDPRESS_DB_HOST: db:3306 // mysql 기본 설정
           WORDPRESS_DB_USER: wordpress
           WORDPRESS_DB_PASSWORD: wordpress
           WORDPRESS_DB_NAME: wordpress
         volumes:
           - ./html:/var/www/html

    마지막으로 아래 명령어를 실행한다.

    docker compose up -d

    이제 라즈베리파이의 주소로 들어가면 워드프레스를 볼 수 있다.

    참조
    Docker(Compose)로 워드프레스 설치하기 (codechacha.com)
    GitHub – biarms/mysql: One more Docker MySQL project for ARM devices

  • VMware에서 Virtual Network Editor (vmnetcfg) 설정

    VMware Workstation에는 개인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Player버전이 있고 다양한 기능과 함께 유료로 사용하는 Pro버전이 있다.

    그러나 Player 버전에는 몇 가지 기능이 빠져 있는데 이전 시점으로 돌아갈 수 있는 스냅샷 기능과 게스트와 호스트사이의 네트워크 VMNet을 관리하는 Virtual Network Editor가 없다.

    그러나 Player를 사용해도 이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데 그냥 인터넷에서 해당 파일을 설치 위치로 두기만 하면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.

    그래서 링크를 남겨둔다.

    Download vmnetcfg.exe für VMware Workstation 15.x Player (tobias-hartmann.net)

    위 링크에서 15.5.7버전을 받으면 이후 버전인 16과 17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.

    다운 받은 파일을 압축을 풀어 ‘vmnetcfg.exe’를 다음과 같은 폴더에 넣으면 된다.

    ‘C:\Program Files (x86)\VMware\VMware Player\’

    파일위치 이미지

    위의 사진과 같이 넣고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아래처럼 정상적으로 실행 된다.

    VMware Workstation Player 17.0.2버전에서 실행 확인함.